한국 사회는 이제 구성원들 개개인의 행복과 욕구충족이 중요해졌고, 그에 따라 인간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최근 심리학 지식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지대한 관심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한편, 최근 인공지능(AI)의 급격한 발전으로, 심리학적 관점에서 인간을 중심으로 한 인공지능 설계 및 이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심리학 학부 졸업 후에는 일반 기업체에서 다양한 직무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적자원을 관리하는 인사(Human Resources)직무 및 소비자심리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Marketing)직무에서 강점을 살려 일하는 졸업생들이 많습니다. 광고회사 및 컨설팅 전문 회사, 그리고 사회과학 연구 방법론을 기반으로 일하는 여론조사 기관에서도 전공분야의 지식을 활용하며 활약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제공하고 있는 ‘뇌-마음-행동’연계전공을 통해 언어학 및 컴퓨터과학을 공부하거나 관련 학과를 부전공 및 복수전공한 경우에는, 최신 기술을 다루는 IT회사에서 기술적 지식에 심리학 지식을 더하여 자신만의 강점을 살려 활동하고 있습니다.
심리학 대학원에 진학하여 심리학을 좀 더 깊이 공부한 전공자들은 주로 대학교, 연구소, 그리고 기업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박사학위 취득 후에는 박사 후 연구원 혹은 연구교수로서 대학교에서 연구를 이어 나가고, 그 후 교수가 되거나 대기업 연구소에 입사하여 연구원으로 활약하기도 합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는 인공지능 및 가상현실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 또한 많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심리학자들은 IT 기업에서 인간과 유사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인공지능 및 기술이 인간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 어떻게 디자인되어야 하는지 등의 업무에 심리학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들의 인력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조직심리학자 및 산업심리학자의 경우 기업체의 기획실이나 인력관리팀, 조직문화팀, 교육훈련팀 등에서 인적 자원의 효과적 활용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적자원관리 세부분야(채용선발, 성과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스타트업, 컨설팅 회사에서 핵심 인력으로 환영받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 대학원 졸업생들은 병원이나 상담소, 그리고 국가기관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임상심리학의 경우 학회에서 인정하는 임상심리전문가 제도 외에 국가가 공인하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자격제도가 정착되어 있고 상담심리학 역시 자격증 제도가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석사과정 혹은 박사과정을 마치고 자격증 취득 후 병원에서 임상심리사로 일하거나 일반 대학의 학생생활연구소 및 전문상담소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국가기관에서 역시 심리학자를 고용하는 경우 역시 증가함에 따라, 현재 법무부 교정국, 노동청 산하 연구소, 철도청 연구소 및 육군사관학교 등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